혹자는 말한다.
한국에도 일본처럼 부동산 폭락이 시작될것이라고 기사 쏟아져 나온다.
정책이후로 '거래절벽'부터 '미분양' '공실률' 부동산에 대한 불안감을
조성하는 기사들과 뉴스들
우린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지피지기 백전백승
그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백번 이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그렇기에 왜, 일본부동산은 그렇게 되었나 를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어려운 이야기는 빼놓고 간단하게 말하자면 (아래 다큐멘터리 링크로 대신)
지식채널 E 다큐멘터리를 보시면 더욱더 체감되실겁니다.
▲꼭 보세요 /부동산버블/일본경제
[일본 버블의 시작]
0.시세차익만을 보았고 미친듯이 오르는 가격에 눈이멀었다.
1. 버블이 시작되고 있을 때 그만둬야 했었다
2.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미 가속도 붙은 경제에 브레이크를 밟을 수 없었다.
3. 집값이 폭락했음에도 공급을 줄이지 않고 오히려 더 확대 정책을 폈다.
4. 대출금리를 낮추고 대출기간을 더 늘려주고 서민들에게 짐을 지우게 했다
5. 그것이 잃어버린 장기불황 20년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대한민국은 ..
한국 국민들의 부동산 관심도는 엄청나다.
전세계를 가도 '부동산' '건물주'라는 단어에 귀가 쫑긋 하는건 대한민국이 으뜸이다.
검색 순위만 봐도 재태크 쪽에서는 여전히 '부동산'이라는 키워드가 우세하다.
그만큼 정책에도 많이 반영이 된다.
버블붕괴의 이웃나라를 보며 불안감도 한몫한다.
그에따라 정부에서도 부동산 정책만큼 관대하지 못하다.
(물론시기별로 차이는 있었지만)
'인식'의 차이가 크다고 생각한다.
한국은 지금 그 문제를 '인지'하고 있는 단계이고
조금씩 꼬였던 실타래를 풀어나가보려 하고있다.
그만큼 우리네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통찰력을 키워 우후죽순일어나는
순간적인 경제기사들만 보고
단편적으로 판단하지 않아야하고 예측하고 또 경험하고
기록하고 다시 발전하는 단계를 거쳐야할것이다.
두려워만 말고 '공부하자'
다/시/공
'다시공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요즘핫한 공모주란 무엇인가? (0) | 2020.09.28 |
---|---|
[꿀팁&정보] 돈버는 법 (how to make money) -불로소득 (0) | 2018.08.25 |
[꿀팁&정보] 다시공부하는 가상화폐 용어정리3 (0) | 2018.08.11 |
[꿀팁&정보] 다시공부하는 가상화폐 용어정리2 (0) | 2018.08.11 |
[꿀팁&정보] 다시공부하는 가상화폐 용어정리1 (0) | 2018.08.10 |
댓글